본문 바로가기

CS14

OAuth 2.0 프레임워크 개요: Bearer 형태의 토큰에 대해 알아보다가 OAuth 2.0 프레임워크와 관련되어 있어서, 함께 알아봄   OAuth 프레임 워크란?1. 새로운 웹 사이트를 사용할 때 구글, 네이버와 같은 소셜 계정으로 편리하게 로그인, 회원가입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소셜 사이트에서 내 데이터 일부를 제 3자의 서비스와 공유해서 가능한 기능. 이런 다양한 서비스 사이에서 안전하게 고객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OAuth 프레임워크가 탄생 (OAuth 프레임 워크 탄생목적) 2. 제 3자의 클라이언트에게 보호된 리소스를 제한적으로 접근하게 해주는 프레임워크   OAuth 1.0이 아닌 2.0인 이유?1. 2010년 IETF에서 OAuth1.0을 발표했지만, 여러 문제로 2년안에 철회됨.구현이 복잡했음.모바일 애플리.. 2024. 5. 22.
Bearer 인증 개요: 고객사에 넘겨줄 api 명세서를 보며, stringBearer 형태의 access token 이 왜 사용되는지 궁금해서 찾아봄 Bearer 인증이란?OAuth 2.0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토큰 인증 방식이다.   Bearer 토큰이란?OAuth 프레임워크에서 엑세스 토큰으로 사용하는 토큰의 유형. Bearer 토큰은 인증 서버에서 정의 하기 나름이지만, 16진수 문자열 또는 jwt(json web token)을 사용하기도 한다. Bearer 토큰은 클라이언트가 해석할 수 없는 형태이고,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면 안된다. 대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권한을 확인할 수있는 메타데이터가 토큰에 인코딩되어 있어야 한다   Bearer 인증을 이용하는 이유?(장점)1. 안전하고 확장이 쉽다.Bearer 토.. 2024. 5. 22.
로컬환경에서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는 이유 개요: 보험금 평균값을 도출하고 db에 저장하는 코드를 웹에서 버튼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하지만 웹이 뻗어버림 이를 해결하고자 찾아보다가 로컬로 함수를 돌릴 수 있도록 제작하게됨 제목처럼 로컬환경에서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는 이유는 하드웨어 제한이 적다. - 클라우드나 서버환경과는 달리 로컬환경에선 개인이 컴퓨터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큰 메모리 용량을 가질 수 있음. - 일반적으로 클라우드나 서버환경은 가상 머신을 사용하고, 이는 특정 하드웨어 자원을 할당받아 동작하는데, 가상 머신의 메모리 용량은 클라우드나 서버 환경에서 사전에 정해진 크기로 제한됨. - 반면 로컬환경에선 사용자가 직접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업그레이드 가능... 2024. 4. 22.
POST 요청을 보낼 때 Authorization을 헤더에 넣는 이유 개요: 한국보험대리점협회(IAA)에서 상품검색에 대한 api 요청을 작성 중, 의문이 드는 작업이 있었다. 기존에 다른 웹 프로젝트도 똑같이 적용됬던 사항인데. 왜 Authorization은 header에 넣어서 요청을 보내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그 전에 POST 방식의 특징과 개념을 조금 살피자면 POST는 리소스를 생셩/변경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므로 전송할 데이터를 HTTP 메세지의 body에 담아 전송한다. body는 길이의 제한이 없어서 POST 요청은 대욜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POST 요청은 캐시되지 않는다. POS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지 않는다. POST 요청을 보낼 땐 헤더의 Content-Type에 데이터 타입을 표시해야 한다. (ex: application/json) # .. 2024. 2. 13.
얕게 생각하고 경험에 바탕하는 객체지향(내 주관) 개요 현재 다니는 회사는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Angularjs를 이용중이다. Angularjs 는 클래스 기반의 구조로 컴포넌트들을 제작하고, 클래스 기반 구조의 가장 큰 장점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서 얕지만,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고자 한다. 객체지향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는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 시켜 상태 와 행위를 가진 객체로 만들고, 객채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 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이용할까? 당연히, 이미 회사에서 채택한 프레임워크이고 이게 단순히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처리를 선호하니 회사 규칙에 따라서 쓴다고 생각. 하지만, 왜 회사에서 채택했는지 생각했을 때, 내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며 느낀 가장 큰.. 2024. 1. 28.
멀티스레드? 멀티 프로세스? 프로세스(process)란? 단순히 실행중인 프로그램 👉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중인 것을 말함 프로세스 구조 1.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메모리등의 자원 2. 스레드 스레드(thread)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 멀티스레드란? 1.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둘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 2.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의 스레드를 가지고 작업을 수행 멀티 프로세스란? 멀티 프로세스는 여러개의 CPU를 사용하여 여러 프로세스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 공통점 멀티 스레드와 멀티 프로세스 모두 여러 흐름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공통점이 있음 차이점 멀티 프로세스는 각 프.. 2022.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