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14 MCP, TOOL, PROMPT MCP(Model Context Protocol)이란LLM이 외부 시스템, 데이터 또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개방형 프로토콜을 의미한다.LLM이 단순히 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넘어, 엑셀, 코드, PPT, 이미지 등 실제 사람이 제작해야하는 걸 상호작용한다. MCP 주요 역할:Tools: LLM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호출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기능을 노출함(tool 목록, tool 설명, tool에 필요한 매개변수 설명 등)Resources: LLM이 상호작용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콘텐츠를 제공하여 LLM의 문맥을 풍부하게 함Prompts: LLM이나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안내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프롬프트 템플릿 및 워크플로우를 정의 TOOL 이란tool은 특정 .. 2025. 5. 28. 순환 참조 (Circular Dependency) 문제 개요: 타 파일에서 export 하는 함수를 import 했는데, 서로 import 하는 상황이라 에러 발생순환 참조(Circular Reference)란? - A가 B를 참조하고, B가 A를 참조하는 상태. 예시 상황1. a.component.ts에 functionA를 b.component.ts에서 import 하였다.2. b.component.ts에 functionB를 a.component.ts에서 import 하였다.3. 따로 에러에서 순환참조 에러라는걸 알려주진 않는다. 하지만 import 한 function의 위치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뜸.왜 [순환 참조]를 하면 안되나? 1. 양방향 구조가 만들어지게 되면, 모듈이 완전히 로드되기 전에 import가 발생하는 상황이 생김 ---> 이 상황으.. 2025. 4. 14. Singleton 이란 개요: 회의중, 이런저런 얘길 하다가 메모리 할당 얘기가 나옴. 그 중 코드에 있는 singleton 패턴에 대해 질문하며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공부Singleton클래스 패턴 중 하나로,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패턴 장점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생성되는걸 방지해, 메모리 할당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컴포넌트에 new Date()를 생성해야 한다면,const now = new Date();const now2 = new Date();const now3 = new Date();console.log(now === now2) // false 위 인스턴스는, new Date() 라는 똑같은 생성자 함수에서 생성되지만, new Date()는 하나의 new Date() 가 아니라, .. 2024. 7. 8. pending 이란? 개요: accessToken 이 만료 또는 오류가 난 상황에서 여러 명의 고객이 accessToken을 사용해야 하는 api 를 이용 시, 어떻게 처리가 될지 궁금해서 공부처음엔 단순 궁금증으로 시작했는데 pending 기법이라는 개발기법이 따로 있어서 알아보게됨 (기본적인 기법이라는데, 난 왜 2년차가 되서야 처음 들어본걸까) pending이란보류중 이라는 뜻.서버나, api 호출 시, 갑작스런 오류로 인해 지연되게 된다면, 해당 일을 처리하는 코드가 작동되고 난 뒤에 동작하게 끔 설계하는것(stack에 동작함수를 넣어놓고 처리가 되면 작동시킴) 상황 및 잘못된 api 요청 예시accessToken의 만료일자 지나서, accessToken을 새롭게 받는 코드를 제작했다고 가정해보자.api 요청시, 우선.. 2024. 7. 8. refreshToken 왜 사용하나요? 개요: 우리 회사 api 솔루션을 고객사에게 보내줄때 같이 주는 명세서를 보다가, refreshToken으로 accessToken 새롭게 발급받는 restAPI 요청이 있었음. 그냥 회사 key로 계속 accessToken을 받으면 되는데 의문이 생겨서 질문함우선 refreshToken이 뭔지 설명하자면,보안 강화로 인해, accessToken에 만료기간이 있음(회사마다 다르지만, 우리회사 만료기간은 1시간임)이 accessToken을 새롭게 발급받고, 만료기간을 늘리기 위한 용도로 refreshToken이 존재 싸피 프로젝트나, 개인적인 라이브러리(공공데이터 등)에서 이용시에 사용하는 accessToken은 만료기간이 없거나, 매우 길었는데(약 1개월에서 1년사이) 타 b2b 사업은 모르겠지만 우리회사.. 2024. 7. 5. TLS 개요: OAuth에서 필수적인 사용되는 TLS에 대해 알아봄 TLS(Transport layer security)란?1. 온라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암호화 프로토콜 2. 통신 데이터를 TLS 프로토콜을 따라 암호화 한다면 누군가 데이터를 가로채도 복호화할 수 없기 때문에 악성 공격에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음. TLS 보안방법1. 인증통신하고 있는 서버를 신뢰할 수 있는지 알려줌.CA(Certification Authority)에서 발급받는 인증서로 상대 서버의 서비스 정보, 공개키, 지문등 다양한 정보 확인가능2. 암호화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 조합을 사용해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호통신을 시작할 댄 비대칭키로 안전하게 대칭키를 공유하고, 실제 통신과정에선 대칭키로 데이터를 암.. 2024. 5.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