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component.ts를 예시로 Component 구조를 파악하고 나만의 논리로 정리 해놓겠음
//app.component.
import { Component } from '@angular/core';
@Component({
selector: 'app-root',
templateUrl: './app.component.html',
styleUrls: ['./app.component.scss']
})
export class AppComponent {
title = 'my-app';
}
@(데코레이터)안 오브젝트 구조를 잘 보아야 함.
- selector: HTML 템플릿의 이름이며, 다른 템플릿에서 <app-root></app-root> 와 같이 html 이름으로 import 가능
- templateUrl: 해당 컴포넌트의 HTML 템플릿과 매핑
- styleUrl: 해당 컴포넌트 스타일 파일과 매핑
이 후, export 부분은 해당 Component를 다른 Component나 html에서 적용시 사용할 수 있는 값임
ex) AppComponent.title === 'my-app'
'Angular.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저버블을 promise로 변환하고 boolean 형태의 값 출력 (0) | 2023.06.13 |
---|---|
Angular Guard에 대하여 (2) | 2023.05.30 |
Angular js: Directive (0) | 2023.03.31 |
Angular js 구조, 구성 요소 생성 방법 (0) | 2023.03.28 |
Angular js 장단점 및 개발 전 환경설정 (0) | 2023.03.27 |
댓글